리뷰
캐논 EOS R3 리뷰 / 사용기 (Canon EOS R3 Review)
등록일 :2021-12-07 11:01:01 조회수 :136,603 추천수 :0

Canon_EOSR3

2018년 EOS R과 함께 시작된 캐논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의 역사는 이제 갓 삼 년이 지났을 뿐이지만 그간 포토그래퍼들에게 보여준 혁신과 발전의 속도는 그야말로 놀랍다. 최초의 캐논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EOS R부터 440g의 초경량을 실현한 EOS RP, 8K 동영상 촬영과 듀얼 픽셀 CMOS AF II로 미러리스 카메라의 위상을 드높인 EOS R5, 속도를 앞세운 전천후 카메라 EOS R6까지 모든 제품들이 각자의 매력과 가능성을 품고 있다.

2021년을 장식하는 캐논의 새로운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EOS R3는 속도와 이미지 품질, 신뢰성까지 다방면에서 EOS R 시스템 최고의 완성도를 갖췄다. 세로 셔터와 새로운 그립을 포함한 디자인과 초당 30매의 초고속 촬영, 진화한 AF 성능으로 미러리스 카메라의 영역을 전문적인 스포츠, 다큐멘터리 촬영까지 확장했다. 6K RAW 동영상을 필두로 한 강력한 동영상 촬영 지원, 뛰어난 고감도 이미지 품질까지. EOS R 시스템의 변화와 혁신을 포괄하고 있는 이 카메라는 시리즈 역사상 가장 크고 결정적인 발자취로 꼽기에 부족함이 없다.

각각의 카메라와 렌즈들에 얽힌 특별한 이야기들은 EOS R 시스템의 역사를 풍성하게 했다. 그렇다면 캐논 역사상 최고의 미러리스 카메라인 EOS R3의 몫은 무엇이 될까? 이 카메라로 담은 사진들과 동영상들을 감상하며 EOS R3를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단어를 정의해 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 팝코넷은 본 콘텐츠 제작을 위해 '캐논코리아' 로부터 카메라와 렌즈를 무상 대여 받았으며 리뷰 포스팅 후 대여 제품 반납과 함께 소정의 리뷰 제작 수고료를 지급받습니다.
* 리뷰에 첨부된 촬영 샘플은 후보정이 없는 리사이즈 본입니다.

Canon EOS R3 제품 소개 영상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EOS-1D X Mark III의 DNA를 품은 미러리스 카메라

세로 셔터와 그립을 포함한 일체형 디자인, 고속 연속 촬영과 듀얼 픽셀 CMOS AF 등 EOS R3의 사양은 DSLR 카메라 EOS-1D X Mark III와도, 미러리스 카메라 EOS R5와도 공통점을 여럿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두 카메라 중 어떤 것에서도 볼 수 없는 압도적인 모습도 보인다. EOS 카메라 최초로 이면조사 적층형 CMOS 이미지를 탑재했고 전자식 셔터의 단점인 롤링 셔터 왜곡을 개선했다. 시선 제어를 포함한 최신 AF 시스템, 초당 30매의 연속 촬영 속도는 모든 EOS 카메라를 압도한다. EOS-1D X Mark III의 속도와 정확성, 높은 신뢰성을 계승하면서 캐논의 최신 기술로 발전 시킨 결과가 EOS R3로 보인다. EOS R 시스템이 가진 장점 덕분에 가능했던 일이다.

EOS R3 EOS R5 EOS-1D X MARK III
마운트 캐논 RF 마운트 캐논 RF 마운트 캐논 EF 마운트
이미지 센서 약 36 × 24 mm 약 36 × 24 mm 약 35.9 × 23.9 mm
유효 화소 수 약 2410 만 화소 약 4500 만 화소 약 2010 만 화소
기록 해상도 (최대) 6000 × 4000 8192 × 5464 5472 × 3648
화상 처리 엔진 DIGIC X DIGIC X DIGIC X
ISO 감도 지원 범위 100 ~ 102400
(확장 ISO 50 ~ ISO 204800)
100 ~ 51200
(확장 ISO 50 ~ ISO 102400)
100 ~ 102400
(확장 ISO 50 ~ ISO 819200)
연사 속도 (최대) 기계식 셔터 : 약 12fps
전자식 셔터 : 약 30fps
기계식 셔터 : 약 12fps
전자식 셔터 : 약 20fps
뷰파인더 촬영 : 약 16fps
라이브 뷰 촬영 : 약 20fps
연속 촬영 가능 이미지 수
(JPG / CFexpress 카드)
1000매 이상 (기계식 셔터)
540매 (전자식 셔터)
350매 (기계식 셔터) 1000매 이상 (기계식 셔터)
셔터 내구성 50만 회 50만 회 50만 회
셔터 속도 기계식 1 / 8000 ~ 30 초
전자식 1 / 64000 ~ 30 초
동조속도 : 1/250초
기계식 1 / 8000 ~ 30 초
전자식 1 / 8000 ~ 0.5 초
동조속도 : 1/250초
기계식 1 / 8000 ~ 30 초
전자식 1 / 8000 ~ 0.5 초
동조속도 : 1/250초
AF 방식 듀얼 픽셀 CMOS AF 듀얼 픽셀 CMOS AF 듀얼 픽셀 CMOS AF
뷰 파인더 측거점 1053 점 1053 점 191 점
라이브 뷰 측거 영역 가로 : 약 100 %
세로 : 약 100 %
가로 : 약 100 %
세로 : 약 100 %
가로 : 약 90 %
세로 : 약 100 %
자동 선택시 AF 영역
(라이브 뷰)
사진 : 최대 1053분할
동영상 : 최대 819분할
사진 : 최대 1053분할
동영상 : 최대 819분할
525분할
측거 휘도 범위 사진 : EV -7.5 ~ 20
동영상(4K) : EV -4.5 ~ 20
사진 : EV -6 ~ 20
동영상(4K) : EV -4 ~ 20
광학 뷰 : EV -4 ~ 21
라이브 뷰 : EV -6 ~ 18
측광 이미지 센서 출력 신호에 의한 384분할 (24×16) 측광/td> 이미지 센서 출력 신호에 의한 384분할 (24×16) 측광 약 400,000화소 RGB+IR 측광 센서를 사용한 216분할 (18x12) TTL 개방 측광
동영상 해상도 6K 60p
논크롭 4K DCI/UHD 60p
크롭 4K DCI/UHD 60p
8K 30p
논크롭 4K DCI/UHD 60p
크롭 4K DCI/UHD 60p
5.5K 60p
논크롭 4K DCI/UHD 60p
크롭 4K DCI/UHD 60p
동영상 IS 내장 5축 손떨림 보정 내장 5축 손떨림 보정 전자식 (5축)
동영상 컬러 샘플링 4K 4:2:2 10bit
Canon Log 4:2:2 10bit
HDR PQ 4:2:2 10bit
6K RAW 12bit
4K 4:2:2 10bit
Canon Log 4:2:2 10bit
HDR PQ 4:2:2 10bit
8K RAW 12bit
4K 4:2:0 8bit
Canon Log 4:2:2 10bit
5.5K RAW 12bit
뷰 파인더 OLED 전자식 뷰파인더
약 576만 화소
시야율 약 100 %
약 0.76 배
아이 포인트 약 23mm
OLED 전자식 뷰파인더
약 576만 화소
시야율 약 100 %
약 0.76 배
아이 포인트 약 23mm
광학식 뷰파인더
상하 좌우 모두 약 100 %
약 0.76 배
아이 포인트 약 20mm
LCD 스크린 3.2형 (화면 비율 3:2)
약 415만 도트
3.2형 (화면 비율 3:2)
약 210만 도트
3.2형 (화면 비율 3:2)
약 210만 도트
저장 장치 CFexpress Type B
SD 카드 (UHS-II 호환)
CFexpress Type B
SD 카드 (UHS-II 호환)
듀얼 CFexpress Type B
배터리 LP-E19 LP-E6NH / LP-E6N / LP-E6 LP-E19
배터리 성능 뷰 파인더 : 약 620매
라이브 뷰 : 약 860 매
4K 동영상 : 약 3시간 20분
FHD 동영상 : 약 5시간 20분
뷰 파인더 : 약 320매
라이브 뷰 : 약 490 매
8K 동영상 : 약 1시간 10분
FHD 동영상 : 약 2시간 20분
뷰 파인더 : 약 2850매
라이브 뷰 : 약 610 매
4K 동영상 : 약 2시간 20분
FHD 동영상 : 약 4시간 40분
크기 약 150.0 × 142.6 × 87.2 mm 약 138.5 × 97.5 × 88.0mm 약 158.0 × 167.6 × 82.6 mm
무게 약 822g (본체)
약 1015g (배터리, 메모리 포함)
약 650g (본체)
약 738g (배터리, 메모리 포함)
약 1250g (본체)
약 1440g (배터리, 메모리 포함)

초당 30매 고속 연속 촬영

전자식 셔터를 사용해 최대 초당 30매의 고속 연속 촬영이 가능해졌다. EOS-1D X Mark III의 초당 20매보다 1.5배 빨라진 EOS 카메라 최고의 순간 포착 능력이다. 쉽게 말해 30p 동영상과 같은 속도로 2400만 화소 이미지를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는 것. 24fps 동영상과 비교하면 오히려 더 빠른 캡쳐 능력이다. 거기에 이면조사 적층형 CMOS 센서와 DIGIC X의 빠른 데이터 전송/처리, 버퍼 메모리 확장 등으로 최대 연속 촬영 매수 역시 JPG 이미지 기준 540매에 달한다. 아래는 전자식 셔터를 사용한 30fps 고속 연속 촬영 +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이다.

전자식 셔터를 사용한 30fps 고속 연속 촬영

EOS R3의 30fps 연속 촬영은 촬영은 물론 결과물 감상에서도 마치 동영상을 찍는 듯한 속도와 부드러움이 인상적이었다. 연속 촬영 중의 블랙 아웃도 발생하지 않아 실시간으로 뷰파인더/모니터 화면을 확인하며 유려하게 피사체를 추적/촬영할 수 있는 것도 장점. 카메라가 피사체를 검출/추적하는 EOS iTR AF X와의 시너지 덕분에 역대 어떤 카메라보다 순간 포착 능력이 뛰어나고 촬영 역시 쾌적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 30fps 연속 촬영 샘플 #1 ■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 30fps 연속 촬영 샘플 #2 ■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 30fps 연속 촬영 샘플 #3 ■

Canon_EOSR3
Canon_EOSR3

■ 30fps 연속 촬영 샘플 #4 ■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 Canon_EOSR3
  • 고속 연속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 속도는 전자식 셔터 사용시 초당 30매, 전자식 선막/기계식 셔터 사용시 초당 12매로 서로 다르다. 실제로 둘을 번갈아 촬영해 보면 30fps 전자식 셔터 촬영은 촬영 중임을 표시하는 화면 주변 표시를 제외하면 촬영 대기 상태의 화면 표시와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려울 정도로 속도가 매우 빠르다. 게다가 블랙 아웃도 없어 피사체의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에 대응하기에도 유리하다. 반면 12fps 기계식 셔터는 촬영 때마다 짧게 끊어지는 화면 표시 등에서 차이가 느껴진다. 아래는 전자식 셔터와 기계식 셔터의 고속 연속 촬영+ 중 화면 표시를 비교한 것.

  • 30fps(전자식 셔터) vs 12fps(기계식 셔터) 연속 촬영 속도 비교

    30p 동영상과 같은 속도로 촬영하는 30fps 고속 연속 촬영 결과물은 동영상과 비교해도 크게 위화감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움직임이 부드럽다. 연속 촬영 된 이미지들을 이어 붙여 만든 동영상을 보면 촬영마다 노출 등의 설정이 변하는 등 이질감이 있지만 속도 자체는 30fps 동영상에 준한다. 그리고 이는 탁월한 순간 포착 능력으로 이어진다.

    30fps 고속 연속 촬영 결과물을 편집한 동영상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새로운 이면조사 적층형 CMOS 센서와 DIGIC X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공유한다. 덕분에 EOS R3는 초당 30매의 고속 연속 촬영 중에도 각각의 이미지에 디지털 이미지 최적화를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최대 개방 촬영시 우려되는 주변 조도를 보완하고 광각/망원 렌즈의 왜곡 개선, 해상감/질감/입체감 향상을 통해 결과물의 품질 향상을 가져오는 디지털 렌즈 최적화를 보다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최종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역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Canon_EOSR3 Canon_EOSR3

    Servo AF & 최대 540매 연속 촬영

    EOS R3의 연속 촬영이 매력적인 것은 제약 없이 Servo AF를 통한 피사체 추적, 프레임 별 노출 설정을 지원한다는 것. 전자식 셔터 사용 시 30fps 연사, 기계식 셔터 사용 시 12fps 연사 모두 해당한다. 특히 피사체의 딥러닝 기반의 EOS iTR AF X를 함께 활용하면 빠르게 움직이는 인물/동물/차량 등을 놓치지 않고 추적하며 초당 30매의 고속 연속 촬영으로 포착할 수 있다.

    Canon_EOSR3

    전자식 셔터로 촬영 시 최대 촬영 매수는 JPG 고화질 기준 약 540매. 30fps 기준 약 18초에 해당하는 긴 시간이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환경에서 초당 30매의 순간 포착을 활용하기에 크게 부족함 없는 수준. 12fps 속도의 기계식 셔터로는 1000매 이상의 연속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설정하면 촬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아래는 전자식 셔터를 사용해 30fps 속도로 약 7~15초간 촬영한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편집한 것이다.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실제 동영상 촬영 못지 않게 부드러운 표현이 특징이다.

    30fps 고속 연속 촬영 결과물을 편집한 동영상

    블랙 아웃 프리 촬영

    전자식 셔터 사용시 연속 촬영 중 뷰파인더/모니터의 화면이 잠시 까맣게 점멸되는 블랙 아웃 현상이 없는 블랙 아웃 프리 촬영을 실현했다. 셔터 동작에 의해 센서의 신호가 차단되는 일이 없는 전자식 셔터의 대표적인 장점을 활용한 것. 광학식 뷰파인더와 비교해 전자식 뷰파인더가 오랫동안 갖고 있던 열세를 극복한 것이라 더욱 눈에 띈다.

    Canon_EOSR3

    아래는 전자식 셔터와 기계식 셔터 사용시 모니터를 통해 보이는 블랙 아웃 현상을 비교한 것이다. 양쪽 모두 최초 촬영시 짧은 시간 화면이 검게 점멸 되지만 이후 연속 촬영 중에는 블랙 아웃 현상 없이 촬영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EOS R3의 중요한 촬영 목적 중 하나인 순간적인 대응/포착에서 이 차이가 성패를 가를 수 있다.

    전자식 셔터 vs 기계식 셔터 촬영시 블랙 아웃 비교

    롤링 셔터 왜곡 개선 & 전자 셔터의 상용화

    앞서 살펴본 대로 전자식 셔터가 갖는 장점은 확실하다. 빠른 연속 촬영이 가능한 것은 물론 물리적인 셔터 동작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없어 정숙이 요구되는 촬영 환경에 적합한 것이 대표적. 셔터 속도를 기계식 셔터보다 빠르게 설정할 수 있어 순간 포착과 야외 개방 촬영에도 유리하다. EOS R3는 최단 1/64000초의 초고속 셔터를 지원한다. 촬영 시 화면이 어두워지는 블랙 아웃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것은 순간 포착, 고속 연사가 핵심인 EOS R3의 촬영 편의성을 크게 높인다.

    Canon_EOSR3

    EOS R3의 전자식 셔터는 이런 장점을 실제 촬영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전자식 셔터가 갖는 단점들을 보완했다. 대표적인 것이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의 형태가 왜곡되는 롤링 셔터 왜곡 현상. 캐논은 리드 아웃 속도가 기존 이미지 센서보다 빠른 적층형 CMOS 센서를 새로 개발해 롤링 셔터 왜곡을 약 1/4로 줄였다. 이를 통해 전자식 셔터를 기본으로 사용해도 무방할 정도의 상용화를 실현했다는 것이 제조사의 설명.

    고속 셔터 / 플래시 동조 지원

    빠른 셔터 속도 설정이 가능한 고속 셔터의 장점을 십분 활용, 최대 1/64000초의 초고속 셔터를 지원한다.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수준의 짧은 순간을 포착하거나 광량이 많은 야외에서 밝은 조리개 값으로 촬영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1/10000초 미만의 셔터 속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Tv, M모드를 설정해야 한다. 기계식 셔터의 최대 셔터 속도는 1/8000초이다.

    고속 셔터를 활용한 F1.2 개방 촬영

    Canon_EOSR3 Canon_EOSR3
  • Canon_EOSR3
  • 그간 플래시 동조 촬영을 위해서는 기계식 셔터 촬영이 필수로 여겨졌지만 EOS R3는 전자식 셔터에서도 실시간 측광/트래킹을 사용한 플래시 촬영이 가능하다. 전자식 셔터의 완성도와 촬영 편의성을 한 단계 높인 변화. 전자식 셔터를 사용하면 플래시 동조 촬영에서도 블랙 아웃 없이 촬영이 가능하며 셔터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전자식 셔터에서는 플래시 동조 속도 1/180초, 전자식 선막 셔터 설정 시 1/250초의 고속 동조가 가능하다. 스피드라이트 EL-1과 사용하면 1/8192 미세 발광도 가능하다.

  • 세 가지 셔터 타입
    높은 신뢰성의 기계식 셔터

    EOS R3는 전자식 셔터와 기계식 셔터 그리고 전자식 션막 셔터 세 가지 옵션을 제공한다. 연속 촬영과 롤링 셔터 왜곡 방지, 고속 플래시 동조 등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촬영 환경과 의도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아래는 셔터 방식에 따른 특성과 촬영 성능의 차이를 정리한 것이다.

    Canon_EOSR3

    50만 회 작동 테스트를 통과한 기계식 셔터는 전자식 셔터와 상호 보완하며 이 카메라의 속도와 성능, 신뢰성을 뒷받침한다. EOS R3의 기계식 셔터 유닛은 EOS-1D X Mark III, EOS R5와 동일한 50만 회 수준 내구성을 갖추면서 완충재를 추가해 셔터음과 진동을 억제했다. 이를 통해 빠른 셔터 속도/고속 연속 촬영시에 셔터 움직임으로 인한 흔들림을 줄이는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Canon_EOSR3

    EOS R3의 전자식 셔터가 대다수 환경에 활용 가능할 정도로 성능이 뛰어나고 기존 전자식 셔터의 단점을 보완했지만 롤링 셔터 왜곡에 매우 민감한 상황, 빠른 플래시 동조 속도가 필요할 때 기계식 셔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EOS R3는 전자식 선막 셔터 방식을 통해 둘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기계식/전자식 선막 사용시 고속 연속 촬영 속도가 최대 30매에서 12매로 감소한다. 더불어 일부 구형 EF 렌즈들은 AF 속도와 피사체 추적 성능에 일부 제약이 있다. 아래는 12fps 연속 촬영을 지원하는 렌즈 리스트.

    Canon_EOSR3

    저소음 셔터 기능

  • Canon_EOSR3
  • 정숙성이 요구되는 환경을 위해 카메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리/진동을 제어하는 저소음 셔터 기능이 제공된다. 물리적 소음/진동이 없는 전자식 셔터의 장점을 십분 활용한 기능으로 촬영시 셔터음과 AF 표시음이 음소거 되는 것은 카메라를 끌 때 발생하는 셔터 작동음도 나지 않는다. 더불어 AF 보조광과 셀프 타이머, 원격 제어 시 점등되는 조명 등도 모두 점등되지 않는다. 다만 저소음 셔터 기능 사용시 기계식 셔터 사용이 필요한 일부 기능(장노출 촬영 시 노이즈 감소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없다.

  • 저소음 셔터 기능 설정 시 변경점

    • - 전자식 셔터 설정.
    • - 표시음 해제
    • - 전원 종료 시 셔터음 미발생
    • - 장노출 촬영 노이즈 감소 기능 해제
    • - AF 보조광 해제
    • - 셀프 타이머/원격 제어 조명 해제
    • - 플래시 발광 금지
  • Canon_EOSR3
  • 저소음 셔터 기능은 촬영 메뉴에서 활성/비활성 시킬 수 있다. 실내 공연 촬영, 다큐멘터리 촬영 등에서 활용도가 높은 기능인만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사진/동영상 모드 전환 레버에 해당 기능을 배치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인상적이다.

  •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Canon_EOSR3

    Copyright 2004~2021 POPCO.net All Rights Reserved.

    *저작권법에 의해 정당한 권리 없이 본사이트의 내용을 무단 복제, 편집한후, 출판 및 전송했을 경우에는 그로인해 발생하는 손해를 모두 배상하여야 합니다.

    추천 0

    팝코넷은 회원여러분들이 가꾸어 가는 공간입니다.

    상대에게 상처를 주기보다는 같이 즐거워 할 수 있는 멋진 코멘트 부탁드려요.
    상대방에 대한 비방이나 욕설등 부적절한 코멘트의 경우 운영진의 판단하에 삭제될 수 있으니 주의 부탁드립니다.

        
    48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001
    추천
    댓글 이벤트에 당첨 되신 분은 해당 리뷰 제품 명을 제목으로 하여 기프트 콘을 받을 휴대폰 번호를 적어
    팝코넷'이벤트 관리자'로 쪽지를 보내주세요.('콘텐츠 관리자'가 아닙니다.)

    ★무작위 기프트콘 : 댓글을 다는 즉시, 실시간으로 랜덤 당첨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선정 기프트콘 : 제품에 관한 유익한 정보나 인상 깊은 댓글을 올려주신 분을 추가로 선정할 수 있습니다.
    -쪽지가 수신되면 기프트콘은 차주 초에 발송되며, 이벤트 종료후 7일 후에도 쪽지가 없으면 자동 취소됩니다.
    -동일 아이디 및 동일 아이피의 무분별한 연속 댓글은 당첨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이벤트 기간내에 작성된 댓글은 삭제할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해주세요.
    -리뷰 게시물에는 하루에 최대 2개까지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단, 댓글의 댓글은 제한이 없습니다.
    2021-12-07 11:01 신고

    002
    [LX100M2]사이타마 추천
    분명 괴물인 것은 맞지만 가격이ㄷㄷㄷ
    R5도 비싼데 R3는... 뭔가 범접할 수 없는 가격이라는 느낌임;
    2021-12-07 12:17 신고

    003
    맥스레오 추천
    기능과 성능 모두 엄청나네요. 그래도 무게 빼면 EOS-1D X MARK III도 선전하는군요.
    역시 전자식 뷰파인더는 배터리 소모가 큰게 문제 같습니다. DSLR이 훨씬 배터리 효율이 좋군요.
    2021-12-07 12:27 신고

    004
    QueeNni 추천
    확실히 몇 단계는 업그레이드 된 기술의 바디네요.
    좋은 건 다 넣은 듯한...

    "R1"이라는 이름을 남겨두었다는 것에서
    캐논이라는 브랜드의 자신감도 느껴지구요.

    개인적으로는 현재 R5가 더 관심있지만,
    향후 새로 나올 바디들이 어떤 방향으로 개발될 지
    정리해주는 제품으로 보입니다.
    2021-12-07 13:55 신고

    005
    쩝이런 추천
    소니가 쏘아올린 미러리스 혁신이 캐논이나 니콘에도 게존 역량에 더해져 소비자들을 행복케 하는 경쟁으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최근 a1, z9에 이어 관심 있었던 기기를 잘 소개해주셔서 도움이 되네요.
    늘 좋은 리뷰에 감사합니다.
    2021-12-07 17:13 신고

    006
    다솜다온아빠 추천
    이거 보니 캐논도 사고 싶네요 ㅠㅠ
    2021-12-07 17:54 신고

    007
    약초 추천
    제가 쓰기에 r5도 차고 넘치는데 리뷰 보고나니까 확실히 신제품이 좋구나 싶어요ㅎㅎ 으 갖고싶다
    2021-12-07 18:02 신고

    008
    토로 추천
    언제나 고퀄 리뷰에 감탄하고 봅니다. (짝!짝!짝!)
    2021-12-07 18:07 신고

    009
    빨간귤 추천
    퇴근길에 반갑게 보는 리뷰입니다. 카메라 정말 잘 빠졌네요!
    2021-12-07 22:01 신고

    010
    TVRsagaris 추천
    고화소바디는 특별히 필요성을 못느껴서 소니 미러리스 등장때부터 a7 a7m2 a7s를 거쳐 a7m3을 사용하고 있는데 처음으로 캐논미러리스가 욕심나네요
    eye af 기능하나로도 써보고싶은 바디입니다.
    2021-12-08 08:29 신고

    011
    동작구민 추천
    갑자기 캐논에서 무슨일이 일어났길래 신기술을 뿜어네네요~
    2021-12-08 10:37 신고

    012
    레이헌터 추천
    조명을 사용한 사진을 찍기 때문에 전자셔터 동조 기능은 매우 필요한 기능인데 R3에서 구현이 됐군요.
    R5 사용하면서 아쉬웠던게 전자셔터 음인데 이것 역시 R3에 들어갔다는게 좋아 보입니다.
    단, 한가지 R5 사용하면서 고화소가 주는 크롭의 여유로움이 꼭 필요할때가 있는데 R3의 화소수는 다소 아쉽습니다.
    2021-12-08 12:52 신고

    013
    영검 추천
    리뷰보는데..미쳤다..라는 소리만 나오네요
    역시... dslr업계 1위 답네요. 소니에 비해서 뒤쳐지긴 했지만, 이정도 퍼포먼스면 꽤나 따라잡을듯합니다.
    r3라면 다 정리하고 갈아타고싶지만.. 가격이..ㅠㅠ
    2021-12-08 13:35 신고

    014
    필린 추천
    이젠 기계가 알아서 다 해주고 사진가는 다른 곳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한 장점입니다. 결과물이 이렇게 말해주고 있으니까요. 다만 사진 촬영 자체가 즐거움과 재미로 다가오는 사람에게는 점점 아날로그 향수를 불러 일으키게 할 것 같습니다.
    이런 괴물같은 스펙에 아날로그 감성의 바디, 셔터소리 등을 채워넣는다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2021-12-08 13:41 신고

    015
    스노우찌 추천
    서보 AF 최대 540매라니... 로또 되면 장만하렵니다. 그래서 로또 사러 갑니다.
    2021-12-08 14:38 신고

    016
    RiderDc기사 추천
    r6r5 세로그립에 밸런스가 안좋아서 r3가 혹하는 크기도 작아지고
    블랙아웃이랑 롤링셔터 해결하고
    호불호가 갈리는데 시선처리 영상봐서는 엄청 좋네요
    2021-12-08 16:07 신고

    017
    꿈꾸는아이 추천
    이면조사 센서라 그런지 고ISO에서도 노이즈 억제력이 정말 후덜덜하네요.
    2021-12-08 20:06 신고

    018
    킬러토마토™ 추천
    배구장에 자주 가는데 iso6400 사진들 경이적이네요!
    전자셔터 왜곡 억제도 기존 R시리들하고는 비교가 안되네요. 기존 R시리즈는 전자셔터로 촬영하면 롤링셔터라 배구공 찌그러집니다
    역시 1D 시리즈의 후계기 다운 성능이네요. 하지만 가격이 ㅠㅠ
    2021-12-08 21:38 신고

    019
    하비홀릭 추천
    후..... 연사 성능도 그렇고, 전반적으로 성능이 사용자 요구사항을 많이 앞지르고 있네요.... 기존 제품과의 비교표가 있어서, 이해하기 좋은것 같습니다.
    2021-12-08 23:42 신고

    020
    커피믹스 추천
    미러리스중에서 제일 크지만 1D 보다는 작군요 ㅎㅎ 개인적으로는 배터리 용량이 마음에 들어요
    2021-12-08 23:52 신고

    021
    순돌 추천
    미러리스는 장난감 같다는 사람도 많았는데 어느새 플래그쉽도 미러리스로 대체되었군요 최고급 전문가용 dslr은 살아남을줄 알았지만 결국 자리내줘야겠습니다
    2021-12-09 14:28 신고

    022
    다비도프클래식 추천
    오랜만에 좋은 리뷰 정말 고맙습니다.모델도 좋고, 내용도 좋습니다.
    2021-12-09 19:32 신고

    023
    연후아아빠신이~♥ 추천
    후아~ 간만에 빚을 내서라도 사고 싶어지는 카메라가 나온거 같아요.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2021-12-10 14:11 신고

    024
    주키친 추천
    궁금했던 부분이 많이 해소되었네용~
    리뷰 해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2021-12-11 02:01 신고

    025
    묵향 추천
    r5 8K30P보다는 6K60P RAW가 실 사용에서 사용성이 더 좋을 듯 합니다 근데 용량이 후덜덜 하네요 6K해상도를 좀 더 편하게 쓰기 위해 H265 옵션도
    선택 가능하게 해줬의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세로일체형 바디 치고는 무게가 엄청 경량화 되었네요 전체적인 스펙은 Z9가 밸런스가 더 잘잡힌 느낌이나 R3만의 유닠크함도 충분히 매력적이어서
    소비자로서 좀 더 행복한 고민이 될 것 같네요
    2021-12-12 18:20 신고

    026
    그라목손인티온 추천
    영상때문에 한번 잡아보고 싶네요 카메라들 이제 모두 성능이 좋으니 뭘 사도 사진생활에는 문제가 없는거 같습니다
    2021-12-12 19:06 신고

    027
    담청 추천
    앗 벌써 리뷰가 올라왔군요.
    궁금했던 부분들 속 시원하게 해소해주시는 리뷰 감동입니다.
    2021-12-12 23:55 신고

    028
    탈퇴한 회원 추천
    세로그립 일체형 바디 디자인이 잘 빠졌네요.
    2021-12-13 23:05 신고

    029
    솔사탕 추천
    R3 기다리며 리뷰기사들 보다가 여기 리뷰 보고 팝코넷 가입했습니다.
    R5 구매예정이었는데 R3 가격보고 이거로 결정하게되었습니다. / 가격이 후ㄷㄷ이라고 표현한 글들이 많은데 이건 기존 1D 시리즈에 대한 선입견
    때문으로 보여집니다. R3 출시 영상을 분석하며 전문가들은 700~800~900만원대까지 다양한 가격을 예측하기도 하었으나, 후발주자인 니콘 Z9의 통큰
    결정이 1D급 바디를 600만원대로 만들어준 것 같습니다. 물건 빨리 풀려서 1월에는 꼭 받아봤으면 좋겠네요!!!
    2021-12-15 07:38 신고

    030
    자림 추천
    배터리 부분에 오류가 있네요.
    배터리 용량은 전압을 포함한 전체 전력량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LP-E6NH는 7.2V 2130mAh 로 15.336Wh의 전력량을 가지며,
    LP-E19는 10.8V 2700mAh로 29.160Wh의 전력량을 가집니다.

    따라서 30%향상이 아니고, 90%의 전력량이 더 많습니다.
    2021-12-15 17:24 신고

    031
    하늘샘 추천
    오 눈길이 가는 제품이네요~^^
    2021-12-15 23:25 신고

    032
    Damanaegi 추천
    와. 역시 R3도 대단한 바디임에는 틀림이 없네요.구 중에서도 시선제어 AF가 정말 놀랍습니다. 
    2021-12-18 23:41 신고

    033
    SONY I LOVE YOU 추천
    앞으로 캐논의 활약이 기대합니다.
    2021-12-19 02:38 신고

    034
    재재파파 추천
    아...주머니사정이 안타까울뿐이네요,.ㅡ.ㅡ
    2021-12-21 23:11 신고

    035
    상이_자연보호 추천
    캐논이 캐논 했는지 무거운데 가볍군요.^^
    2021-12-23 22:28 신고

    036
    소삽 추천
    무게가 문제인데..... 실사용자들의 사용감이 어떨런지 좀 두고 봐야할것 같네요.
    2021-12-26 12:23 신고

    037
    cyoz 추천
    성능은 참 훌륭하네요.!
    헤드 디자인은 참 아쉽습니다
    2021-12-31 08:30 신고

    038
    똑딱러 추천
    리뷰 잘 봤습니다
    대단한 바디가 또 하나 나왔네요
    2022-02-04 20:01 신고

    039
    엘린 추천
    대학가 벚꽃 이쁘네요
    https://blog.naver.com/jihy525/222706507765
    2022-04-21 17:59 신고

    040
    oO차칸서키Oo 추천
    1000을 의미하는 k는 소문자로 표기해야 해요
    4k 6k 8k이렇게요
    4K는 켈빈온도 즉 4000이 아닌 절대온도 4도를 뜻합니다
    2022-05-27 23:03 신고

    소셜 로그인 남겨주신 의견은 팝코넷회원 분들에게 큰 보탬과 힘이 됩니다. 새로고침

    로그인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유: 권한이 없는 회원레벨
      
    △ 이전글: 캐논 EOS R7 리뷰 / 사용기 (Canon EOS R7 Review)
    ▽ 다음글: [리뷰] bronine 카메라 충전기 리뷰 / 사용기
    Copyright 1999-2025 Zeroboard
    맨위로